오리무중

오리무중 五里霧中
짙은 안개가 5리나 끼어있는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하여 방향이나 상황을 알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학문이 뛰어난 장해(張楷)라는 선비가 있었다. 순제가 여러 번 등용하려 하였지만 그는 병을 핑계로 끝내 출사 하지 않았다
장해는 춘추, 고문상서에 통달한 학자로서 평소 거느리고 있는 문하생만 해도 100명을 웃돌았고, 전국 각처의 학식과 명망이 높은 선비들을 비롯하여 귀족, 고관대작, 환관들까지 다투어 그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장해는 이를 싫어하여 화음산(華陰山) 기슭에 자리한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러자 그를 쫓아온 문하생과 학자들로 인해 그의 집은 사람들로 붐볐다. 나중에는 화음산 남쪽 기슭에 장해의 자를 딴 공초(公超)라는 저잣거리까지 생겼다
그런데 장해는 학문뿐만 아니라 도술도 잘해 안개를 오 리나 퍼지도록 하는 '오리무'를 쉽게 만들었다고 한다. 어느 날 안개를 삼 리까지 만들 줄 아는 사람이 '오리무'를 배우기 위해 장해를 찾아왔다. 하지만 장해는 몸을 피하고 만나주지 않았다. 그 사람은 장해가 만들어 놓은 '오리무' 속에서 헤맬 뿐이었다.
타산지석 他山之石 뜻 유래 공옥이석 攻玉以石
타산지석, 공옥이석 유의어 반면교사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른 산의 돌이라도 자기의 옥을 가는데에는 쓸모가 있다 他 다를 타 山 뫼 산 之 어조사 지 (갈 지) 石 돌 석 시경(詩經) 《소아편(小雅
snack828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