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유취
구상유취 口尙乳臭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상대의 능력을 얕잡아 보고 하는 말이다
口 입 구
尙 오히려 상
乳 젖 유
臭 냄새 취
사기(史記)
한나라 왕 유방(劉邦)이 초나라 항우와 천하를 걸고 싸우던 때의 일이다.
유방의 팽성 공격 때 동참했던 위나라 왕 표(豹)가 부모의 병간호를 핑계로 평양(平陽)으로 돌아가 하진(河津)을 차단하고 항우의 편으로 돌아섰다.
유방은 표를 치기 위해 한신(韓信)을 보내며 역이기(酈食其)에게 물었다.
「표 군사의 대장은 누구요?」
「백직(栢直)이라는 자입니다」
백직이라는 말에 유방은 코웃음을 쳤다.
「그 자라면 나도 좀 알지. 아직 입에서 젖내가 나는 구상유취(口尙乳臭)야. 백전백승(百戰百勝)의 우리 한신에게 당할 수 없다.」
유방이 큰소리쳤듯이 표는 도저히 한신의 적수가 못 되었다.
한신은 순식간에 위나라 군사를 무찌르고 표를 사로잡아 유방에게 압송했다. 끌려온 표가 머리 조아려 간청하자, 유방은 노여움을 거두고 표에게 형양의 수비를 맡겼다.
관련 고사성어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 (한신의 능력)
하늘이냐 땅이냐 한번 던져 결정한다. (유방과 항우의 한판 승부)
면종복배 面從腹背 뜻
면종복배 면종복배 面從腹背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딴마음을 먹음 面 낯 면 從 좇을 종 腹 배 복 背 등 배 유의어 구밀복검 口蜜腹劍 뜻 유래 구밀복검 口蜜腹劍 뜻 유래 구밀복
snack8282.tistory.com
구밀복검 口蜜腹劍 뜻 유래
구밀복검 구밀복검 口蜜腹劍 입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지만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 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하지만 마음속은 음흉하다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당나라 현종(玄宗
snack8282.tistory.com
청출어람 靑出於藍 뜻 유래
청출어람 청출어람 靑出於藍 푸른색은 본래 쪽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다 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난 경우를 말한다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남) 순자(荀子)의
snack828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