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중복·말복, 여름을 견디는 삼복의 지혜
초복, 중복, 말복은 여름철 무더위가 극에 달하는 시기를 의미하는 ‘삼복(三伏)’으로, 예로부터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고 건강을 챙기기 위한 중요한 시기로 여겨져 왔습니다.삼복(三伏)의 의미삼복의 뜻: ‘엎드릴 복(伏)’ 자를 써서, 기운이 더위에 눌려 엎드린다는 뜻입니다.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초복부터, 절정을 이루는 중복, 더위가 물러나는 말복까지의 기간을 뜻합니다.유래: 중국 진나라 시기부터 시작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에 이르러 복날 제사와 보양 풍습이 자리를 잡았습니다.2025년 삼복날초복: 7월 20일중복: 7월 30일말복: 8월 9일복날의 풍습과 음식보양식 섭취더위에 지친 기력을 회복하기 위해 삼계탕, 추어탕, 장어구이, 민어탕 등 영양가 높은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피서 활동계..
더보기
7월 절기 소서와 대서, 여름의 흐름을 읽다
7월에는 여름의 절정을 알리는 두 절기, 소서(小暑)와 대서(大暑)가 있습니다. 각각은 더위의 시작과 정점을 나타내며, 농사와 음식문화, 생활 풍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소서 (小暑)의미: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시기: 양력 7월 7일 또는 8일경으로, 음력 6월에 해당합니다.날씨: 장마 전후로 비가 자주 내리며 습도가 높습니다.농사: 모내기를 마친 후 논두렁 잡초 제거, 밭 김매기 등 농사일이 활발히 진행됩니다.풍속: 밀가루 음식인 칼국수, 콩국수 등을 즐기며, 자연 현상을 삼후(三候)로 나누어 관찰하기도 합니다.대서 (大暑)의미: '큰 더위'라는 뜻으로, 일 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입니다.시기: 양력 7월 22일 또는 23일경이며, 음력 6월 중하순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