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사자성어, 그외

농와지경 弄瓦之慶 반의어 농장지경 弄璋之慶 뜻 유래

농와지경, 농장지경 : 시경(詩經)

농와지경 弄瓦之慶 반의어 농장지경 弄璋之慶 뜻 유래

농와지경 弄瓦之慶

실패를 가지고 노는 경사라는 뜻으로 딸을 낳은 즐거움을 뜻한다

弄 희롱할 롱/농, 瓦 기와 와, 之 갈 지, 慶 경사 경

 

옛날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

≪시경(詩經)≫

「딸을 낳으면 맨바닥에 재우고,

포대기를 두른 다음 손에는 실패 장난감을 쥐어준다.」

 

반의어

농장지경 弄璋之慶

구슬로 만든 장난감을 갖고 노는 경사라는 뜻으로 아들을 낳은 기쁨

弄 희롱할 롱/농, 璋 홀 장, 之 갈 지, 慶 경사 경,

 

옛날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

≪시경(詩經)≫

「아들을 낳으면 침상에 누이고,

꼬까옷을 입힌 다음 손에는 구슬을 쥐어준다」


새옹지마 塞翁之馬 뜻 유래

 

새옹지마 塞翁之馬 뜻 유래

새옹지마 새옹지마 塞翁之馬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가 많다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갈 지 馬 말 마 옛날 중국의 북쪽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snack8282.tistory.com